대구복합혁신센터는 대구혁신도시 내 동구 각산동 1174번지 일원에 총 사업비 282억원을 투입해 부지매입 및 설계용역을 완료하고, 4월부터 본격 공사 착공에 들어가 오는 2022년 12월 준공될 예정이다. ..
포항시는 오는 4월 1일부터 5월 31일까지 농지소재지 읍면동행정복지센터에서 기본형 공익직불제 신청 및 접수한다. 기본형 공익직불제는 농업인 등의 소득안정과 농업ᆞ농촌 공익기능 증진을 위한 ..
포항시와 한동대학교가 포항의 도시재생사업을 위해 힘을 모으기로 했다. 포항시와 한동대학교 공간환경시스템공학부 20여 명은 도시재생사업의 협업을 위해 1일 ‘복합 문화예술체험 거점 조성공
경북도와 구미시는 1일 구미시청 상황실에서 인쇄회로기판(PCB) 생산 레이저가공업체인 엘엠디지털㈜, 2차 전지 제조장비 생산업체인 ㈜디에프에스와 투자양해각서를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날 투자
이철우 도지사는 1일 경북도청을 방문한 겐나디 랴브코프(Gennady Ryabkov) 주부산러시아총영사를 면담하고 경상북도-러시아 간 교류협력과 상생발전에 대해 논의했다. 이 자리에서 랴브코프 총영사는
대구시는 지역경제의 근간인 산업단지 발전을 위해 입지 및 산업적 특색을 고려한 발전 방향을 검토하는 ‘대구산업단지 혁신성장 강화방안’ 보고회를 4월 1일 별관 대회의실에서 개최했으며, 이
대구시는 청년이 원하는 일자리를 만들고, 안정적으로 일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대구테크노파크와 함께 ‘고용친화기업 청년채용 지원사업’에 참여할 기업을 오는 4월 2일부터 모집한다. ..
봉화군은 코로나19 확산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지역 소상공인을 지원하고, 침체된 관내 옥외광고업의 활성화를 위한 옥외광고 소비쿠폰 지원사업을 시행한다. 이번 사업은 관내 신규업소와 코로
‘바로 따서, 바로 와서, 바로 팔며, 바로 사가는’농산물 직거래장터 ‘바로마켓 경상북도점’이 대구 농업자원관리원에 개장한다. 경상북도는 농산물 직거래를 활성화해 생산자와 도시소비자 모
포항시가 ‘꿈의 신소재’로 불리는 ‘그래핀’ 산업 육성에 선도적으로 나서면서 철강에 이어 이차전지·바이오헬스 등과 함께 미래 먹거리 산업 생태계가 다양해지고 있다. ‘그래핀’이란 흑
대구환경공단(이사장 정상용)과 계명문화대학교(총장 박승호)는 3월 31일 ‘스마트 물기술 전문인력 양성과 물기술 공동 파트너십 구축’을 위한 산학협력 업무협약(MOU)을 체결하였다. 이날 계명문화..
대구시는 대구 소재 특별지방행정기관 4곳과 합동으로 지역기업 살리기를 위한 ‘제1차 정책현장 합동간담회’를 3월 30일 대구테크노파크벤처공장 2호관에서 개최했다. 이번 간담회는 코로나19로
대구시는 3월 31일(수) 오후 2시 대구시청 별관 대회의실에서 민간주택건설사업 수주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지역업체의 주택건설 참여확대를 위해 대구은행, 지역업계와 함께 다각적인 방안을 논의하
김천시(시장 김충섭)는 새마을회원의 봉사활동 중 발생하는 위험과 사고에 대비하여 상해치료와 개인부담 등을 덜기 위해 단체상해보험을 가입했다고 밝혔다.
김천시(시장 김충섭)는 자금난으로 어려움을 겪는 지역 중소기업에 중소기업 운전자금 수시분으로 60억원을 지원한다.
김천시(시장 김충섭)는 3월 30일 예비 청년 창업가 5명을 2021년 청년 창업공간 지원사업 대상자로 선정하여 이들에게 임대료 및 리모델링비를 지원하기로 결정하였다.
경상북도는 지적재조사 위원회 심의를 통하여 17개 시ᆞ군 39개 지구 13,315필지(7,376천㎡)에 대하여 2021년 지적재조사지구로 지정한다고 밝혔다. 2021년 경북 지적재조사사업 전체 규모는 23개 시·군 62
경상북도는 31일 포항공과대학교에서 ㈜에이치에너지, ㈜포스코, 경북우리집RE100 협동조합, 포항공과대학교, ㈜피엠그로우와 ‘도민주도형 그린뉴딜 플랫폼 구축’을 위한 상호협력 양해각서(MOU)를 ..
울진군은 2020년 12월 31일을 기준으로 지역 내 사업장을 둔 법인은 오는 4월 30일까지 법인지방소득세를 신고·납부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군은 지역 내 사업장을 둔 법인을 대상으로 소득세 신
영천시는 ‘지역일자리 목표 공시제’ 추진에 따라 2021년 일자리대책 세부계획을 수립해 시 홈페이지 및 고용노동부 지역고용정보네트워크에 공시했다. 지역일자리 목표 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