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대구시청 |
이를 통해 대내외 경제여건에 따른 고용둔화에 대응하고 고용유지를 제고하고자 하며, 총사업비 8억 원(국비 6억 원, 시비 2억 원) 규모로 4월 28일부터 지원대상자 모집을 시작한다.
해당 사업은 2025년 고용노동부의 ‘지역형 플러스 일자리 사업’*의 일환으로 지난 2월 국비 공모사업으로 선정돼 추진하게 됐다.
* 정부 일자리사업을 기반으로 지역·산업별 특성에 따라 지원범위와 수준을 우대 지원하여 지역 주력산업의 일자리 창출을 지원하는 사업
대구형 플러스 일자리사업은 자동차부품 및 반도체 기업을 대상으로 신규채용 및 근로자 정규직 전환의 경우, 해당 기업에 근로자 1인당 월 100만 원, 최대 9개월간 900만 원의 장려금을 지원한다.
또한, 지역에 거주하는 구직자가 지역 자동차부품 및 반도체 기업에 신규 취업해 3·6개월 근속 시 각 100만 원, 최대 200만 원을 지원하며, 자동차부품 기업에 청년(만15세~34세 이하)이 취업하면 경력을 쌓을 수 있도록 최대 240만 원(매월 20만 원, 12개월)을 지원한다.
① 자동차부품 산업은 소재/가공, 단위부품, 모듈부품/시스템, 완제품/서비스, 전장부품 등 중핵업종과 연관업종을 포함한 기업*이며 대구시는 자동차부품 산업의 근간이 되는 핵심분야(중핵) 13개 업종 기업을 중심으로 우선 지원할 계획이다.
*〔붙임1〕???? 자동차부품 산업 대상범위(산업분류코드) 참조(중핵 13개, 연관 32개 업종)
지원 규모는 기업지원 47명, 근로자 지원 102명으로 총 149명이며, 4월 28일(월)부터 주관기관인 지능형자동차부품진흥원(053-615-7612)을 통해 신청할 수 있다.
② 반도체 산업은 관련 개발·설계, 소재·부품, 기계·장비, 가공·처리 등 중핵업종과 연관업종을 포함한 기업*이며 대구시는 반도체산업의 근간이 되는 핵심분야(중핵) 6개 업종 기업을 중심으로 우선 지원할 계획이다.
*〔붙임2〕????반도체산업 대상범위(산업분류코드) 참조(중핵 6개, 연관 23개 업종)
지원규모는 기업지원 25명, 근로자 지원 11명으로 총 36명이며, 4월 28일(월)부터 주관기관인 대구경영자총협회(053-560-7813)를 통해 신청할 수 있다.
한편, 2024년 고용노동부 협약체결로 추진한 현대·기아차 부품업 2·3차 협력기업 및 근로자를 위한 고용장려금 사업은 올해까지 210명에게 지속 지원할 계획이다.
박기환 대구광역시 경제국장은 “이번 사업은 기업의 인건비 부담을 덜어주고, 근로자의 장기재직을 유도해 지역 자동차부품 및 반도체 산업의 인력난 해소에 큰 도움을 줄 것이다”며, “앞으로도 지역 주력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해 청년인력 유입 촉진 및 근로자의 고용 안정화를 위한 다양한 일자리 지원사업을 추진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