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이번 지원대책은 생계·생존자금, 대구희망지원금에 이은 세 번째 대규모 지원대책으로, 정부지원 사각지대 보완과 취약계층 생계안정, 코로나19 방역강화, 민생경제 회복지원에 초점을 두었다. 연이은 대규모 지원으로 재난기금이 고갈되는 등 어려운 여건 가운데 힘겹게 재원을 마련한 만큼 더 어렵고 힘든 분들에게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지원하자는 취지이다.
기본방향별로 주요내용을 살펴보면, 우선, 긴급 피해지원 확대를 위해 ▲대구형 희망플러스 일자리 1만개 추가공급, ▲정부지원 사각지대 보완을 위한 버팀목 플러스자금 130억원 지원, ▲소상공인 부담완화를 위한 임대료 인하 및 지방세 감면 173억원, ▲위기가구 2만6천가구 추가지원 등 총 1,409억원 규모을 지원을 추진한다.
코로나 방역 강화를 위해서는 ▲코로나 대응 지역의료기관 손실보전 등 141억원, ▲어린이집·종교시설·영화관·전통시장 등 방역물품 지원 17억원 등 총 158억원 규모의 지원이 이루어진다.
민생경제 회복지원을 위해서는 ▲ 경영안정자금의 지원대상 연매출 조건 폐지와 소상공인 임차료 특별지원항목 신설을 통한 지원대상 확대, ▲창업 및 경쟁력강화자금 상환유예 및 공장 임차보증금 지원신설, ▲대구행복페이 카드수수료 부담 제로화, ▲온누리 상품권 사용확대를 위한 골목형 상점가 30개소 추가발굴, ▲시 본청 예산 신속집행 목표 상향추진(64%→75%), ▲창업실패자 재도약 자금 업종제한 폐지로 폐업식당주 등 재기지원, ▲노란우산공제 가입지원 확대 등 3.6조원 규모로 추진된다.
주요사업들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① 우선, 지방비 500억원의 예산을 추가투입하여 대구형 희망플러스 일자리를 1만명 분 추가 공급한다. 기편성된 예산을 전부 투입하여 3,000명을 지원하는 1단계 사업에서 13,299명이 신청, 4.4대 1의 경쟁률을 보이는 등 코로나19 장기화로 공공일자리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1단계 사업이 끝나는 5월 2단계 5,000명분을 우선공급하고, 2단계 사업이 끝나면 곧바로 3단계 5,000명분을 공급할 계획이다. 1만명분의 희망일자리가 추가투입 되면 `21년 월평균 공공일자리는 `20년 월평균 공공일자리의 90% 수준에 근접할 것으로 분석된다.
② 두 번째로 정부 버팀목자금의 사각지대를 보완하기 위해, 대구형 버팀목 플러스 자금 130억원을 순수 지방비로 지원한다. ▲여행업·관광업·공연업, 전시 및 국제회의업 등 특별고용지원업종 중 정부버팀목자금 미지원 업체에 100만원, ▲정부 특수형태근로자·프리랜서 지원을 받지 못한 문화예술인과 전문예술단체에 100만원씩 지원한다. ▲전세버스는 1대당 150만원씩 지원하고, ▲법인택시기사는 정부 버팀목자금을 지원받은 개인택시기사 지원수준을 고려하여 정부지원 50만원에 더해 50만원씩 추가지원한다. ▲취업한파를 맞은 코로나 세대의 구직활동을 지원하기 위해 `20~`21년 졸업생 중 미취업 청년에게 1인당 20만원씩 청년취업응원카드(대구행복페이 충전)를 지급한다.
③ 세 번째로, 소상공인의 부담완화를 위해 173억원 규모의 임대료 인하와 지방세 감면을 추진한다. ▲공공부분의 소상공인 사업장 1,100개소에 대해 `21.1~6월분 22억원 규모의 임대료를 인하한다. ▲ 개인사업자 및 법인사업자 14만명의 주민세 50%를 감면하고, ▲감염병전담병원 및 선별진료소 설치의료기관의 지방세 32억원을 감면한다. ▲국세로 70% 세액공제가 시행중인 착한 임대인에 대해서는 인하액 10% 수준의 재산세를 추가감면 해준다. ▲산업 및 농공단지 입주기업, 공장등록 제조업체, 목욕장업·관광숙박업 등에 대해서는 `21.3~5월분 상하수도 요금의 50%를 감면해준다.
④ 네 번째로, 코로나19로 갑작스럽게 생계가 어려워진 위기가구 지원을 위해 관련예산을 222억원에서 2배이상 증가한 485억원까지 확대하여 26,000가구를 추가지원한다. ▲생계비·교육비·주거비 등이 지원가능한 긴급복지지원은 15,000가구 수준 151억원에서, 35,000가구 수준 351억원까지 확대한다. ▲자가격리자 생활비 지원사업도 3,700가구 수준 37억원에서 10,000가구 수준 100억원까지 확대한다. 그 외에도 ▲사회복지공동모금회와 협력하여 일시적 생계위기가구 11,500가구에 생필품을 지원하고, ▲ 코로나19 취약계층 급식·생필품 지원 등도 지속 추진하여 촘촘한 코로나19 복지망을 구축해 나갈 예정이다.
⑤ 다섯 번째로, 코로나19 확진자 치료와 밀접접촉자 관리를 위해 병상을 제공한 의료기관의 손실보상 등을 지원하기 위해 141억원을 투입하고, 집단감염에 취약한 시설에 17억원 규모의 방역물품을 지원하여 코로나19 재확산 차단과 원활한 경제활동을 지원한다. 방역물품 지원은 ▲어린이집 1,300개소에 100만원 상당 자외선 소독기 지원 13억원, ▲종교시설 2,200개소, 영화관 25개소, 전통시장 150개소에 대한 마스크·손소독제 지원 등으로 이루어진다.
⑥ 여섯 번째로, 소상공인·중소기업의 자금위기 탈출을 위해 경영안정자금 1조원, 보증 1조 4,000억원, 창업 및 경쟁력강화자금 550억원 등이 투입된다. 경영안정자금은 ▲연매출 400억원 미만 또는 자산총액 1,000억원 이하라는 지원조건을 폐지하고, ▲ 0.4%p 수준의 추가 이자지원이 제공되는 소상공인 임차료 특별자금 항목을 신설하여 자금난과 임대료 부담이 큰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을 지원한다. 창업 및 경쟁력 강화 자금은 ▲`21.1~6월까지 6개월분 분할상환원금에 대해 만기 연장을 해주고, ▲공장 임차보증금도 지원대상으로 포함하여 적극적 투자를 추진하는 기업을 응원한다.
⑦ 일곱 번째로, 소상공인 매출회복을 위한 소비여건 조성을 위해 대구행복페이와 온누리 상품권의 활용도를 높이고, 시 재정의 적극적인 역할을 강화한다. ▲1조원으로 확대 발행되는 대구행복페이는 당초 연매출 10억원 이하 소상공인에게만 카드수수료 환급을 지원하던 것을 집합금지·집합제한업종은 연매출 제한 없이 카드수수료를 지원하는 것으로 조건을 완화하였다. 또한, ▲전통시장 외 온누리 상품권을 쓸 수 있는 골목형 상점가를 30개소까지 추가 발굴하여, 온누리 상품권 사용처를 확대해 나간다. ▲시 본청 예산의 신속집행 목표도 행안부가 제시한 64%보다 높은 75%로 상향·추진한다.
⑧ 마지막으로 성실실패자가 재도전 할 수 있도록 지원을 확대한다. 창업실패자 재도약 자금은 ▲제조업·신성장동력·지식서비스 등의 업종제한을 폐지하여 식당 등 서민업종도 신속한 지원이 가능하도록 사전교육 등 절차를 1년간 한시적으로 폐지한다. 코로나19로 지원자가 크게 증가할 경우 추경 등을 통해 지원을 확대해나갈 계획이다. ▲노란우산공제는 전년도 5.6억원 대비 2배 이상 증가한 13억원을 투입하여 소상공인 4,200개 업체의 생활안정과 사업재기를 지원할 예정이다.
대구시는 이번 지원대책이 시민들에게 조금이라도 빨리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신속하게 추진할 예정이다. 제도개선을 통해 즉시 시행이 가능한 민생경제 회복지원 분야는 2월 중 곧바로 시행하고, 예산반영이 필요한 긴급피해지원분야와 코로나방역강화 분야는 세부계획을 가다듬고, 의회와 협의를 거쳐 최대한 빠른 시일 내 시행할 계획이다. 특히, 대구형 버팀목플러스 자금은 3월 내 집행 가능 하도록 준비에 박차를 가할 예정이다.
권영진 대구시장은 “지금 모두가 어려운 시기지만, 특히 취약계층 등 지원 사각지대에 계신 분들을 지원하는 것이 급선무다”라며, “대구시는 가용할 수 있는 모든 재원을 동원해서라도 일자리와 복지 중심의 금번 경제방역을 통해 시민들께서 다시 한번 이 어려운 시기를 버티고 또 회복을 준비하실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해 돕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