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북도농업기술원은 소비자 선호도가 높고 재배가 안정적으로 되는 고품질 딸기 품종을 집중 육성해 농가에 확대 보급할 계획이다.
최근 대형마트에서 겨울시즌 매출을 분석한 결과 국민 음식인 라면에 이어 딸기가 매출 2위를 하는 등 딸기의 인기가 높으며 내수시장 뿐만 아니라 수출시장에서도 2015년 3,300만 달러에서 2019년 5,500만 달러로 수출액이 계속 증가 추세에 있다.
성주참외과채류연구소는 2006년부터 15년간 ‘싼타’, ‘알타킹’, ‘베리스타’, ‘허니벨’ 등 소비자 입맛에 맞는 딸기 신품종 15종을 육성하여 국내 딸기 산업에 기여를 하고 있다.
|
알타킹 품종 |
2017년도 육성한 ‘알타킹’ 품종의 경우, 2019년도에 통상실시 계약 및 시범사업을 통해 경북지역을 중심으로 품종 보급이 확대되고 있으며 최근 경북 김천지역에서 알타킹 수출작목반을 만들어 5.6ha 면적에 재배하고 있다.
‘알타킹’은 과실 착색이 50% 정도에서 수확하여도 당도와 품질이 떨어지지 않는 우수한 품종으로 수출용으로 적합하며 2020년 상반기에 싱가포르, 태국에 1.9톤 가량을 첫 수출했다.
21년 2월에는 싱가포르, 태국 뿐만 아니라 홍콩, 베트남, 캄보디아 까지 총 5개국에 약 14만 달러(약 13톤) 가량 수출하는 등 동남아 시장에서 소비자들에게 큰 인기를 끌고 있다.
‘알타킹’ 품종은 바이어와 해외 소비자들의 만족도가 높아 수출 발주량이 계속 증가하고 있으며 수출 요구 물량을 맞춰내기 버거울 정도로 주문이 쇄도하고 있는 실정이다.
|
싼타 품종 |
또한 2012년도 육성한 ‘싼타’의 경우, 해외 품종보호를 출원하고 로열티 계약으로 중국에서 2020년까지 3억 8천 6백달러 로열티를 받았다.
딸기는 일반적으로 11월 중하순이후 부터 생산되지만 싼타 딸기는 국내에서 출하가 가장 빠른 품종 중 하나로 10월 말부터 수확이 가능한 품종이다.
또한 60~70% 착색시 수확을 하여도 당도가 유지되며 경도가 높고 저장 유통성이 좋아 수출용으로도 적합하다.
성주참외과채류연구소는 최근 육성한 신품종 보급이 확대됨에 따라 품종의 특성 및 고품질 생산관리 현장 교육을 추진하고 육성된 품종의 보급이 원활히 되도록 우량묘 생산 공급확대에 힘 쓸 계획이다.
신용습 경상북도농업기술원장은 “소비자층이 다양해지고 빠르게 변화하는 트렌드에 맞추어 내수시장 뿐만 아니라 수출시장에도 인기 있는 고품질 품종을 육성하고 보급하여 농가 소득향상에 도움이 되도록 하겠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