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경북도청 앞 대로변 일부 구간에 찰흙·토사가 방치돼, 폭염에 시멘트처럼 굳어 도로 안전을 위협하고 있다. 취재 결과 지난주부터 같은 상태가 이어졌고, 경고 표지·즉각 청소·살수 같은 기본 조치도 눈에 띄지 않았다. “발주만 하고 현장은 안 본다”는 시민들의 분노가 커지고 있다.
굳어버린 흙, 시민 안전 위협
취재진이 찾은 도청 앞 도로 가장자리에는 흙과 진흙이 두껍게 굳어 있었다. 고온의 땡볕에 표면은 딱딱하게 변했지만, 그 밑은 여전히 젖어 있는 상태였다. 차량이 지나가면 바퀴가 흙가루를 흩날리며, 보행자와 이륜차 이용자는 불편과 위험에 그대로 노출돼 있었다.
운전자 김모(42) 씨는 “며칠째 같은 자리에서 저게 그대로다. 공사를 하든 정리를 하든 해야지, 이 상태로 두면 사고 나라는 얘기 아니냐”며 불만을 토로했다.
공무원의 현장 외면, 왜 반복되나
문제는 이 같은 위험 상황이 단순 시공업체의 관리 소홀만으로 설명되지 않는다는 점이다. 공사 발주처인 안동시청 담당 부서는 공사 진행 상황을 수시로 확인하고, 현장 관리 책임을 다했어야 한다. 그러나 이번 사례처럼 “공사는 발주했으니 업체가 알아서 하겠지” 하는 안일한 태도가 결국 시민 안전을 위협하는 결과로 이어지고 있다.
이 같은 구조적 문제는 어제오늘 일이 아니다. 전국 곳곳의 관급공사에서 항상 따라붙는 꼬리표가 바로 ‘부실공사’다. 감독 기관이 책상 앞에서만 결재 도장을 찍고, 현장에 발로 나서지 않으니 발생하는 악순환이다.
전문가들 “현장 감독 의무는 공무원의 책무”
전문가들은 입을 모아 말한다. 현장은 거짓말을 하지 않는다. 건설공법이 아무리 발전해도, 공사 품질 관리 시스템이 아무리 정교해도, 결국 마지막은 현장에 나와 눈으로 확인하는 행정의 기본 자세라는 것이다.
실제로 대법원 판례에서도, 부실공사로 인명 피해가 발생할 경우 현장 감독 공무원에게도 업무상 과실치사상 책임을 물을 수 있다고 판시한 바 있다. 이는 단순히 업체 책임으로 떠넘길 수 없는 이유다.
도지사가 강조한 말, “현장이 답이다”
이철우 경북도지사가 늘 강조하는 말이 있다. 바로 “현장이 답이다”다. 하지만 이번 도청 앞 도로 문제를 보면, 그 구호가 현장에서는 얼마나 공허하게 흩어지고 있는지 적나라하게 드러난다.
큰 예산을 들여 발주한 공사라면, 담당 공무원은 주기적으로 현장을 나가 살펴보고, 안전 조치를 즉시 시행해야 한다. 그러나 이번에도 ‘탁상행정’이라는 고질병이 또다시 드러났다.
도청 앞 대로의 굳은 찰흙은 단순히 흙이 굳은 문제가 아니다. 그것은 공무원들의 무책임과 안일함이 굳어버린 상징이다. 시민의 안전은 결코 발주만으로 지켜지지 않는다. 이제라도 책임 있는 현장 행정이 절실하다.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