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꽁지환경늬우스

`제20회 구미 발갱이들소리 정기발표회`개최..
사회

`제20회 구미 발갱이들소리 정기발표회`개최

정해영 기자 jyong1411@naver.com 입력 2023/10/30 11:31
홍성‧순창‧예천의 초청공연과 함께 한마당 축제의 장 펼쳐져

↑↑ `제20회 구미 발갱이들소리 정기발표회`개최
[정해영 기자](사)구미발갱이들소리보존회는 29일 구미발갱이들소리전수관에서 `제20회 구미 발갱이들소리 정기발표회`를 개최했다.

이번 정기발표회는 ‘구미발갱이들소리’가 경상북도 무형문화재로 지정(1999. 4. 15.)된 이후 계속 갈고 닦은 기량을 시민들에게 선보이는 자리로, 전승‧보존을 위해 매년 개최하고 있다.

행사에는 지역의 또다른 무형문화재인 ‘구미 무을농악’이 길을 열었고, 충남 무형문화재 ‘홍성 결성농요’, 전북 무형문화재 ‘순창 금과들소리’, 국가 무형문화재 ‘예천 통명농요’의 초청공연이 펼쳐져 한마당 축제의 장이 만들었다.

‘구미발갱이들소리’는 지산동에 위치한 넓고 기름진 들인 발갱이들*에서 예부터 공동 농경작업 등의 일을 할 때 불렀던 노동요로 총 10마당의 소리로 구성된다.

농군들이 나무를 할 때나 풀을 벨 때 부르던 ‘신세타령(어사용)’, ‘가래질소리’, ‘망깨소리’, ‘목도소리’ 등의 노동요와 농사일을 할 때 부르던 ‘모찌기소리’, ‘모심기소리’, ‘논매기소리’, ‘타작소리’와 논매기를 마치고 마을로 돌아올 때 부르던 ‘치나칭칭나네’, 부녀자들이 베를 짜면서 부르는 ‘베틀소리’ 등이 있다.

김영철 문화체육관광국장은 “사라져가는 전통 무형유산의 보존과 후계자 양성에 힘쓰는 관계자들에게 감사의 말을 전하며, 발갱이들소리 등 구미의 고유한 역사와 전통을 계승‧발전시켜 나가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했다.

저작권자 © 꽁지환경늬우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