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경상북도청 |
현재 하수 기반 감시 사업은 지난해 5개 지역의 하수처리장에서 올해부터는 1곳을 추가했다.
코로나19 바이러스를 포함한 호흡기 감염 바이러스 9종과 노로바이러스를 대상으로 주 1회 모니터링을 하고 있고, 올해부터는 기존 감시 항목에서 항생제 내성균을 추가했다.
CRE 감염증은 카바페넴 항생제에 내성을 나타내는 세균성 병원체 감염으로 발생한다.
카바페넴 항생제는 요로감염증, 폐렴 및 패혈증 등 다양한 감염성 질환 치료에 이용되며 내성을 나타내는 경우 여러 계열 항생제에서 내성을 나타내는 경우가 많다.
특히 의료기관 내 항생제 내성균의 감염 확산 방지를 위한 관리가 중요하다.
연구원이 도내 의료기관 및 보건소와 연계하여 CRE 세균의 인체 감염을 모니터링 한 결과, 2018년 265건을 시작으로 최근 3년간 2021년 904건, 2022년 802건, 2023년 1,182건의 감염이 확인되어 해마다 급격한 증가추세를 보였다.
경북의 경우 CRE 감염증 환자 65.3%가 70세 이상으로 나타나, 고령층에 대한 카바페넴 항생제 내성균의 감염관리가 더욱 중요하다.
고령층이 많은 요양병원의 감염관리 강화를 위하여 연구원은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도 감염병관리지원단과 함께 선제적으로 요양병원 무증상 종사자 및 신규 입원 환자를 대상으로 모니터링하고 환경 검체까지 대상을 확대한다.
서상욱 감염병연구부장은“CRE 감염증이 지속해서 증가하고 있는 추세에 맞춰 연구원에서도 하수처리장 유입수, 무증상자 대상 선제 검사 등 적극적인 검사를 통해 도민 건강 보호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