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대구시청사 |
11월 1일부터 내년 1월 31일까지 가을철 산불조심 중점 예방활동 기간으로 설정하고, 산불예방에 총력 대응한다.
이를 위해 10개 기관(시, 7개 구·군, 2개 공원)에 산불방지대책본부를 운영하고 산불감시인력 300여 명을 선발해 주요등산로 입구와 과거 산불발생지 등 취약지역에 중점 배치한다.
시 산림면적(47,229ha)의 13.8%에 해당하는 6,521ha는 입산통제구역으로 지정하고, 전체 등산로(790㎞)의 0.82%에 해당하는 6.5㎞는 산불예방을 위해 내년도 5월 15일까지 폐쇄한다.
그러나 이용자가 많고 감시인력 배치로 통제와 관리가 가능한 주요 간선 등산로는 산을 찾는 사람들의 편의 제공을 위해 개방하며, 지선등산로나 샛길 등산로 등은 폐쇄한다.
초동진화를 위한 헬기는 임차 3대, 소방헬기 2대를 활용하고, 대형산불 확산 시 양산과 안동에 있는 산림청 헬기를 지원받게 되며, 조기 신고체계 확립과 취약지 감시 강화를 위해 현재 보유하고 있는 드론 10대를 활용한다.
산불발생의 중요 원인 가운데 하나인 논·밭두렁이나 영농부산물 소각은 연말까지 마을별로 날짜를 정해 우기가 있는 날 공동으로 소각을 실시해, 해마다 발생하는 대형 산불 발생요인을 사전에 차단키로 했다. 공동소각은 해당 구·군 산림부서에 신청해 허가를 받은 후 시행하면 된다.
산불이 발생했을 경우 현장에서의 일사분란한 통합지휘체계를 확립하기 위해 피해면적과 산불상황에 따라 통합지휘권자인 시장, 구청장·군수의 역할을 분담해 산불진화 시 혼선이 없도록 지휘에 효율적으로 대처키로 했다.
최근 10년간(‘12~’21) 산불발생 건수는 80건이 발생해 7.32ha의 산림피해를 입었으며, 주요 원인을 보면 입산자 실화가 53건(66%), 논·밭두렁, 쓰레기 소각이 11건(14%)으로 입산자 실화에 의한 산불발생이 대부분을 차지했다.
홍성주 대구시 녹색환경국장은 “산불은 항상 사소한 부주의로 발생되는 만큼 산에서만은 불씨를 취급하지 말 것과, 시민 모두가 산불지킴이라는 생각으로 산을 찾는다면 산불발생은 없을 것”이라며 시민들의 적극적인 협조를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