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안동시 ˝잎도열병 우리논은 안전합니까 미리 살펴 적극 방제합시다˝ |
잎도열병은 비가 자주 오고 낮은 기온이 오랫동안 계속되거나 거름기가 많은 논에서 쉽게 발생한다. 영호진미 등 도열병에 약한 품종들은 기온이 높아도 국지성 강우로 인한 다습한 환경, 일조량 부족 등의 영향으로 도열병이 발생될 수 있다.
병이 심해지면 잎이 잿빛으로 변하면서 말라죽는다. 또한, 마디도열병, 목도열병 및 이삭도열병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도열병은 환경적 요인뿐 아니라 지나치게 많은 질소비료를 사용하거나 논두렁의 바랭이와 강아지풀에서 발생한 잡초 도열병이 벼로 전염될 수 있으므로 논 주변 잡초 방제도 철저하게 해야 한다.
효과적인 방제를 위해서는 벼 잎에 회색 방추형의 반점이 보이는 도열병 발생 초기에 방제하는 것이 중요하며 반드시 등록된 약제를 안전사용기준에 따라 살포해 줄 것을 당부했다.
농업기술센터 관계자는 “정밀한 병해충 예찰로 정확한 방제정보를 제공하여 잎도열병으로 인한 농가 피해가 최소화 되도록 노력하겠다.”라고 말했다.